Surprise Me!

[팩트맨]화성 8차 범인 잡은 ‘수사 기법’…믿을 수 있나?

2019-10-07 6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영화 '살인의 추억' 중] <br>"야 인마! 너 아니잖아! 너 안 죽였잖아!" <br> <br>"네가 안 죽였잖아! 내 아들 죄 없다!!" <br> <br>"나 안 죽였다! 내가 안 죽였다!" <br> <br>"솔직히 그거 미리 대사 연습 시킨 거 아냐?" <br> <br>"뭐?" <br> <br><br>지난 1988년 8차 화성연쇄살인사건 당시 경찰은 '최첨단 과학 수사'를 거쳤다며 윤모 씨를 진범으로 지목했는데요. <br> <br>당시 수사 기법, 정말 믿을만 한 건지 따져보겠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사건 발생 직후 현장에 남겨진 8가닥의 체모에 주목했습니다. <br> <br>체모를 원자로에 넣어 성분을 분석하는 '방사성 동위원소 감별법'을 사용했는데요. <br> <br>보통 사람들에게는 검출되지 않는 티타늄 성분이 나오자, 인근 공업사에 근무하는 50명의 체모를 검출했고, 윤 씨를 범인으로 지목했습니다. <br><br>현장에서 나온 체모와 윤 씨의 체모가 40% 편차 내에서 일치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 감별법, 지금도 범인을 특정하는 단서로 활용될까요? <br> <br>[임시근 /성균관대 대학원 과학수사학과 교수] <br>"동위원소만 해서 어떤 누구다 이렇게는 전혀 알 수가 없어요. 개인 식별은 DNA로 다 정리가 된 거고요." <br> <br>99.99% 이상의 일치율을 보이는 DNA와 달리 방사성 동위원소는 거주지나 환경이 일치하는 사람들끼리 비슷해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어떤 직업군인지, 어디 살고 있는지, 용의자의 범위를 좁힐 수 있는 '단서'에 불과하다는 건데요. <br> <br>8차 사건 당시엔 재판에서 '증거'로 쓰였지만, <br> <br>지금은 동위원소만으로 동일인이란 걸 입증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따라서 8차 사건 당시 쓰인 수사 기법, <br><br>용의자 1명을 특정하는 데 활용하기엔 신뢰도가 '낮다'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이상 팩트맨이었습니다. <br> <br>성혜란 기자 saint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